본문 바로가기

건축 공정의 기본181

방수 공사 설계 및 시공 Check Point Ⅰ. 개요   1. 방수공사는 외부환경으로부터 건축물을 보호하며 인간의 쾌적한 생활 환경을 확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방수공사는 비교적 하자 발생이 높고, 보수도 어려우며 커다란 불편을 주므로 엄격한       품질관리가 요구된다. Ⅱ. 방수 공법 종류   1. 아스팔드 방수, 시트방수, 도막방수  2. 몰탈 방수(시멘트 액체방수)  3. 침투방수   4. 금속 Sheet방수  5. 자체 수밀법  Ⅲ. 설계상 방지대책   1. 건물의 거동 상태    1) 균질한 강도 및 강성유지    2) Creep처짐, 적재하중에 따른 변형고려    3) 수평력에 의한 지붕판 변형 작게    4) Expansion Joint설치(50mm이하)   2. 지붕의 구배 및 배수    1) 수평 홈통의.. 2025. 4. 9.
물량내역 수정입찰 제도 Ⅰ. 개요    ① 발주기관이 교부한 물량내역서를 참고해 설계도, 시방서 등을 입찰자가 직접         검토하고 산출내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는 입찰방식    ② 300억 이상 공사에 의무 적용하도록 되어있다. Ⅱ. 특징    ① 물량내역서의 항목에 누락, 오류 등으로 인한 계약내용 변경 시에도 계약금액을 변경금지    ② 입찰자는 물량검토에 대한 적산비용 발생    ③ 물량내역 검토 기간이 추가되어 입찰기간 증가    ④ 물량수정에 따른 낙찰률 저하 우려    ⑤ 물량내역 검토에 대한 기술능력 요구    ⑥ 물량의 미수정 부분에 대한 설계변경 시 논란 우려    ⑦ 입찰자마다 상이한 내역체계 구성으로 평가 난해    ⑧ 물량산출의 적정성 심사 기준이 모호 Ⅲ. 물량내역수정 입찰제도와 타 입찰제도의 비교 2025. 4. 9.
BTL(Build-Transfer-Lease) Ⅰ. 정의    1) 민간회사가 자금을 투입해 공공시설을 건설 후(Build) 정부에 이전(Transfer)함과        동시에 정부로부터 시설임대(Lease)한 임대료를 징수하여 투자비를 회수하는 방식 Ⅱ. 특성    1) 민간사업자의 투자자금 회수에 대한 리스크 제거    2) 정부의 재정지원 부담 감소로 최근에 SOC사업으로 BTL이 많이 적용됨    3) 민간사업자의 활발한 참여와 경쟁 유발 Ⅲ. 개념도 Ⅳ. BTL과 BTO차이 2025. 4. 8.
타일 붙임 공법 종류 및 압착 방법 품질관리 1. 개요  1) 타일 붙임 공법의 종류에는 현장 붙임공법, 일체식 공법, PC판 타일 먼저 붙임 공법(TPC)이 있다.  2) 압착공법 품질관리는 준비에서부터 재료, 바탕 처리, 시공, 양생까지의 모든 과정에 걸쳐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2. 타일 붙임 공법 종류  1) 현장 붙임 공법(손 붙임 공법)   ① 적재공법(떠붙임 공법)  ② 압착공법(개량 압착 및 접착제 붙임공법)  ③ 밀착 붙임공법(동시 줄눈공법)   ④ 판형 붙임공법(UNIT 붙이기 공법)  2) 일체식 공법(타일 거푸집 먼저 붙임)  3) PC판 타일 먼저 붙임 공법(TPC)  3. 압착공법 품질관리  1) 사전준비    ① 설계도, 시방서 검토, 소용량 파악    ② 견본 확인, sample 시공  2) 재료    ① 형.. 2025. 4. 7.
실비정산 보수가산식 도급 Ⅰ. 개요    ① 공사의 실비를 건축주와 도급업자가 확인 및 정산하고, 건축주는 미리 정한          보수율에 따라 도급업자에게 보수를 지불하는 방식으로, 상호 신뢰가 전제가         된다면 가장 이상적인 도급방식이다.    ② 도급업자는 이익이 보장되므로 공사관리에 만전을 기할수 있고, 건축주는           우수한 품질의 건축물을 기대할 수 있다. Ⅱ. 적용대상    ① 건축주가 양질의 공사를 기대할 경우    ② 건축주가 직영 방식처럼 자기 의사를 충분히 반영코져 할 때    ③ 설계도, 시방서가 불명확시    ④ 공사비 산출이 어려울 경우 Ⅲ. 장점 및 단점 Ⅳ.  특징   1) 실비비율 보수가산식 도급(총공사비=실비+(실비*비율보수))    ① 공사의 진척에 따라 정해진 실비와 .. 2025. 4. 7.
레미콘 타설 전 준비와 양생, 보온할 때 유의점. 레미콘 타설 전 준비와 양생, 보온할 때 유의점. 1.레미콘 타설 사전 준비 1) 사전 준비 ① 수송설비(펌프카) 및 배관상태 확인이 필요하다. ② 타설 인원 및 형틀 공, 철근공, 전기공 등 타설할 때 비상 작업 인원을 점검한다.  ③ 타설 일자의 기상 상태를 미리 확인한다.  ④ 품질관리자 입회 및 시험기구 준비를 확인한다.  ⑤ 부어 넣기 준비(양생 준비, 진동기) 및 작업장 확인(펌프카 설치 위치, 레미콘 차량 운반 경로)이 필요하다. 2) 타설 전 관리가 필요한 부분 ① 거푸집 조인트 틈새로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억제를 위한 거푸집 청소 및 밀착시공 여부 확인이 필요하다.  ② 거푸집 하부 등 이물질 청소상태 확인 및 철근 변형 여부, 간격 재, 버팀대 변형 여부를 확인한다.  ③ 벽체 철근 이.. 2025. 4. 4.
콘크리트 키커(kicker) Ⅰ. 정의    1) slab위 벽체 형틀 설치시 변형 및 Cement paste 유출방지 목적으로        설치하는 5~15cm턱으로 방수턱도 해당    2) 방수턱이란 건축물 바닥의 물이 그 밖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구획 끝부분에 수직으로 설치  Ⅱ. 콘크리트 키커 시공도해   Ⅲ. 콘크리트 키커 미시공시 문제점    1) 정위치 Form 설치 어려움    2) 외력에 변형 발생 쉬움    3) Cement paste 유출    4) 형틀 재설치 우려    5) Con'c 구조체 곰보 발생 우려 Ⅳ. 콘크리트 키커 시공 방법    1) slab와 일체 시공   2) slab와 분리 시공 2025. 4. 3.
콘크리트 염해 Ⅰ. 정의    1) Con'c 중에 염화물이나 염화이온의 침입으로 철근부식    2) 체적 팽창으로 균열이 발생    3) 염분함유량 규제치 : Con'c(0.3kg/㎥), 해사(건조중량의 0.02%이하) Ⅱ. Con'c 염해과정  Ⅲ. 염해의 피해    1) 철근 부식    2) Con'c 균열발생    3) 강도 저하    4) Con'c 염화 촉진    5) 내구성 저하  Ⅳ. 염해의 원인    1) 염화물 이온 과다    2) Con'c내 염화물 영향    3) 철근 피복 두께 부족    4) 해사 사용    5) 방수 불량 Ⅴ. 염해 방지대책    1) 염기성 모래는  충분히 세척 후 사용    2) 염분 규제치는 0.02%이하가 되도록 함    3) 염해에 강한 시멘트, 혼화제 사용    4.. 2025. 4. 2.
기둥 밑잡이 Ⅰ. 정의  1) 기둥최하부에 설치하여 거푸집이 충격 및 진동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고정   2) 수평 조절목의 수평 상태는 옹벽 및 개구부의 수직수평이 기본이 되므로       수평확보에 심혈을 기울인다. Ⅱ. 기둥 밑잡이 시공도 Ⅲ. 설치 목적  1) 거푸집 수직 수평 유지   2) Cement paste 유출 방지   3)  시공정밀도 향상   4) 콘크리트 부착성 향상   5) 거푸집 작업 편의 Ⅳ. 골조현장 거푸집 시공시 고려사항  1) 바닥레벨 철저히 관리   2) 먹매김 실시 후 작업   3) 단면 결손에 주의   4) 하부 틈새 발생 방지   5) 타설전 청소 철저 2025.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