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공정의 기본/시공기술사123 콘크리트 키커(kicker) Ⅰ. 정의 1) slab위 벽체 형틀 설치시 변형 및 Cement paste 유출방지 목적으로 설치하는 5~15cm턱으로 방수턱도 해당 2) 방수턱이란 건축물 바닥의 물이 그 밖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구획 끝부분에 수직으로 설치 Ⅱ. 콘크리트 키커 시공도해 Ⅲ. 콘크리트 키커 미시공시 문제점 1) 정위치 Form 설치 어려움 2) 외력에 변형 발생 쉬움 3) Cement paste 유출 4) 형틀 재설치 우려 5) Con'c 구조체 곰보 발생 우려 Ⅳ. 콘크리트 키커 시공 방법 1) slab와 일체 시공 2) slab와 분리 시공 2025. 4. 3. 콘크리트 염해 Ⅰ. 정의 1) Con'c 중에 염화물이나 염화이온의 침입으로 철근부식 2) 체적 팽창으로 균열이 발생 3) 염분함유량 규제치 : Con'c(0.3kg/㎥), 해사(건조중량의 0.02%이하) Ⅱ. Con'c 염해과정 Ⅲ. 염해의 피해 1) 철근 부식 2) Con'c 균열발생 3) 강도 저하 4) Con'c 염화 촉진 5) 내구성 저하 Ⅳ. 염해의 원인 1) 염화물 이온 과다 2) Con'c내 염화물 영향 3) 철근 피복 두께 부족 4) 해사 사용 5) 방수 불량 Ⅴ. 염해 방지대책 1) 염기성 모래는 충분히 세척 후 사용 2) 염분 규제치는 0.02%이하가 되도록 함 3) 염해에 강한 시멘트, 혼화제 사용 4.. 2025. 4. 2. 기둥 밑잡이 Ⅰ. 정의 1) 기둥최하부에 설치하여 거푸집이 충격 및 진동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고정 2) 수평 조절목의 수평 상태는 옹벽 및 개구부의 수직수평이 기본이 되므로 수평확보에 심혈을 기울인다. Ⅱ. 기둥 밑잡이 시공도 Ⅲ. 설치 목적 1) 거푸집 수직 수평 유지 2) Cement paste 유출 방지 3) 시공정밀도 향상 4) 콘크리트 부착성 향상 5) 거푸집 작업 편의 Ⅳ. 골조현장 거푸집 시공시 고려사항 1) 바닥레벨 철저히 관리 2) 먹매김 실시 후 작업 3) 단면 결손에 주의 4) 하부 틈새 발생 방지 5) 타설전 청소 철저 2025. 4. 1. 철근의 부착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Ⅰ. 철근 부착강도의 개념 1) 철근과 콘크리트는 부착력에 의해 서로 일체화되므로써 강성이 확보되는 복합구조 2) 부착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내구성, 시공, 철근, 결합재료 등이 있다. Ⅱ. 철근 콘크리트의 강도 Ⅲ. 부착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시공 ① 다짐 ② 정착길이 2) 철근 ① 피복두께 ② 이음정착 ③ 표면 녹 3) 결합재 ① 배합비 ② Cement강도 ③ W/C비 4) 내구성 ① 중성화 ② 염해 ③ AAR 2025. 3. 31. Micro Pile Ⅰ. 정의 1) Micro pile이란 천공후 철근 또는 강봉을 삽입후 Grouting한 직경 30cm이하 소구경 pile를 말한다. 2) 좁은 장소 조건 및 부상방지용이나 Underpinning용으로 활용 Ⅱ. Mirco pile 시공순서 Ⅲ. Micro pile 적용 대상 1) 공간적이 제약으로 인해 장비의 접근이 어려운 협소한 지역 2) 기존 구조물에 또는 인접하여 시공해야 하는 경우 3) 지반 및 굴착조건이 양호하지 않는 경우 4) 진동 및 소음 발생 최소화가 필요한 경우 5) 압축 및 인장이 동시에 작용하는 타워, 굴뚝 및 송전탑 기초 3) Rebound량이 정확히 기재가 되도록 설치 4) 항타 중 기록지의 위치 변화가 없도록 주의 .. 2025. 3. 30. 동재하시험 Ⅰ. 정의 1) 파일항타시 두부에 가속도계, 변형률계를 부착하고 가속도, 변형률의 측정치를 이용하여 지지력을 측정하는 방법 2) 시험이 간단한 반면, 신뢰도면에서 문제가 있으므로 정재하 시험과 병행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Ⅱ, 정재하시험 방법 및 설치도 1) 측정기기 부착 2) 파일 항타 3) 가속도, 변형률 측정 4) 지지력 측정 Ⅲ. 동재하시험 특징 1) 시험이 간단하며 단시간내에 측정 가능 2) 정재하시험에 비해 비용이 저렴 3) 신뢰도는 다소 떨어짐 Ⅳ. 시공시 유의사항 1) 측정기기의 정확한 설치 2) 본항타와 동일한 항타 에너지 3) 자료의 date base화 4) 정재하시험과 병행 Ⅵ. P.. 2025. 3. 29. 트레미관(Tremie pipe) Ⅰ. 개요 1) 수중Con'c 타설시 수직파이프(Tremie pipe)를 통해 Con'c를 타설하는 공법 2) Con'c가 물과 접촉하여 재료분리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한 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특수관을 이용하여 타설하는 기법 Ⅱ, 트레미관 종류 1) 밑뚜껑식 ① 선단에 뚜껑을 만들어 Con'c 투입시 Tremie pipe를 조금 들어올리면 Con'c 중량에 의해 뚜껑이 자동으로 제거되면서 Con'c타설 2) 개폐문식 ① 선단에 개폐문을 설치하고 Tremie pipe를 세워 Con'c를 채운 후 선단을 개방하여 Con'c 타설 3) 플랜저식 ① Tremie pipe 투입구에 관.. 2025. 3. 28. 안정액 관리 Ⅰ. 정의 1) 굴착공사 중 굴착면 붕괴를 막고, 지반을 안정시키는 비중이 큰 액체를 총칭 2) 지반상태, 공사조건 등에 적합한 안정액 사용 3)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 시공이 증가함에 안정액 사용 증가 Ⅱ. 안정액의 요구성능 1) 물리적 안정성 2) 화학적 안정성 3) 적정 비중 4) 굴착면 막형성 Ⅲ. 안정액의 종류 1) 벤토나이트 안정액 2) 폴리모 안정액 3) 염수 안정액 4) CMC 안정액 5) 벤토나이트+CMC 안정액 Ⅳ. 안정액의 목적 1) 장기간 굴착면 유지 2) 굴착면 붕괴 방지 3) 흙의 공극을 gel화 4) 지하수 유입방지 5) 안정액 유출 보호막 형성 Ⅴ. 안정액 시공시 유의사항 1) 안정.. 2025. 3. 27. Sand bulking Ⅰ. 정의 1) 모래에 물이 흡수 되었을때, 용적 부피가 팽창하는 현상 Ⅱ. 모래의 함수율과 단위용적 중량 1) 함수율 6~12%에서 단위용적 중량 최소 2) 단위용적 중량이 최소일 때 가장 느슨한 상태임 Ⅲ. Bulking 시험 1) 팽창윤시험 2) 팽창압시험 Ⅳ. Swelling(팽윤현상) 1) 점토지반에 물이 흡수되었을 때 체적이 팽창되는 현상 2) 영향 ① 지반침하 ② 기초부상 ③ 부동침하, 균열발생 Ⅴ. Slacking(비화현상) 1) 연한암석을 건조한 후 물이 흡수되면 부피팽창하면서 차츰 부스러지는 현상 2) 영향 ① 지반연약화 ② 지지내력 저하 ③ 건물침하, 균열발생 Ⅵ. Bulkin.. 2025. 3. 26. 이전 1 2 3 4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