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싼 게 비지떡!”
건설도 마찬가지예요.
과거에는 **‘가장 싼 가격’**을 제시한 건설사가 공사를 맡았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는?
- 부실 공사 😰
- 공사 지연 ⏳
- 추가 비용 발생 💸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등장한 제도가 바로 종합심사낙찰제도입니다!
🔍 종합심사낙찰제도 한눈에 보기
단순히 가격만 보고 회사를 뽑는 것이 아니라,
실력, 경험, 책임감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해
가장 적합한 건설사를 선정하는 방식이에요.
📌 예시 비유:
마치 반장 선거에서 "인기만 많은 친구"가 아니라,
공부도 잘하고, 리더십 있고, 친구들과도 잘 지내는 사람을 뽑는 것과 같아요!
📊 평가 항목은 어떻게 될까요?
1. 💰 입찰가격 (Price Score)
- 가장 낮은 가격만 추구 ❌
- 너무 낮은 가격(덤핑)은 감점될 수 있어요
- 적정한 가격을 제시한 회사가 높은 점수를 받아요
2. 👷♂️ 공사수행능력 (기술력 & 경험)
- 유사 공사 경험, 시공 실적
- 특수 기술 보유 여부
- 재무 건전성 (부도 위험 없는 회사인지)
- 과거 공사 품질 평가 결과
3. 🤝 사회적 책임 (기업 태도 평가)
- 국내 인력 고용 비율
- 안전사고 발생률
- 하도급과의 공정 거래 여부
- 지역 경제 기여도
✅ 이 세 가지 점수를 합산해 총점이 가장 높은 회사가 선정됩니다.
🏢 어디에 적용되나요?
- 공공 건설 공사, 특히 100억 원 이상 대규모 사업
- 도로, 철도, 아파트, 병원 등 국가계약법 대상 공사
- 최근에는 건설 엔지니어링 용역 등으로 확대 적용 중
👍 장점은 무엇인가요?
✅ 공사 품질 향상
✅ 기술력 있는 기업 육성
✅ 안전하고 투명한 건설 환경 조성
✅ 적정 이윤 보장 → 기업도 안정 운영 가능
✅ 지역경제, 고용창출 기여
❗ 단점은 없을까요?
❌ 평가 항목이 많아 입찰 준비가 복잡
❌ 신생기업은 불리할 수 있음
❌ 정성평가의 공정성 논란 (주관적 요소 개입 가능성)
❌ 점수 차이 미미 → 다시 가격경쟁 흐름으로 돌아갈 우려
🌟 마무리 요약
건설 종합심사낙찰제도는
👉 단순한 가격 경쟁이 아닌
👉 좋은 품질, 안전한 공사, 책임 있는 기업을 뽑기 위한 제도입니다.
📣 앞으로 더 많은 공사가 이 제도를 통해
지속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건설 문화로 나아가길 기대합니다.
✅ TIP:
"가장 싼 게 아닌, 가장 잘할 수 있는 회사를 선택하세요!"
반응형
'건축 공정의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건설현장 사망사고 절반은 추락사…‘비계 안전기준’ 재정립 추진 (0) | 2025.06.25 |
---|---|
💡 물가변동 ESC 제도 완벽 정리 (0) | 2025.06.25 |
🏡 ZEB 3등급: 우리 집, 에너지 60%를 직접 만들어요! (0) | 2025.06.23 |
🏗️ 가설구조물 구조검토 의무화: 건설 현장의 안전을 위한 필수 조치 (5) | 2025.06.23 |
📦 거푸집 & 동바리 공사 요약 (3) | 2025.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