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균열4

균열 관리 계획서입니다. 1. 목적     본 절차서의 목적은 000 공사 현장 시공할 때 발생한 콘크리트 균열에 대해 조사, 원인추정, 보수ㆍ 보강 필요성 판정       및 보수ㆍ보강 요령 등의 처리 절차를 기술함으로써 공사 중 또는 준공 후 발생할 수 있는 하자를 예방하고,       부적합사항의 재발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2. 범위    2.1 본 계획서는 000 신축공사의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관리 작업 수행에 적용한다.  3. 참고문서   3.1 당 현장 건축시방서 및 특기시방서    3.2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 05000 철근콘크리트공사    3.3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 제2장 일반콘크리트 & 제3장 레미콘 4. 책임과 권한  4.1 현장소장   본 절차서의 작성, 개정, 승인 및 운영에 대해 전반적인 책임이 있.. 2024. 8. 19.
균열 유발 줄눈 Ⅰ. 정의    1) Mass Con'c 타설시 온도균열 제어목적으로 20%이상 단면결손을       두어 균열을 집중시키는 줄눈 Ⅱ. 균열 유발 줄눈의 도해    1) 외벽개구부 주위     2) 창호 하부    3) 배수구 및 기타구멍    4) 건물코너부위 Ⅲ. 설치목적    1) 온도균열 제어     2) 균열 유도    3) 건물외관 보호    4) 내구성 증진  Ⅳ. 시공시 유의사항    1) 벽두께의 20%이상 단면결손     2) 외벽색깔 코킹재사용    3) 코킹을 연속시공    4) 설치위치와 설치간격    5) 적절한 보수(균열 종료후) 2024. 8. 6.
콘크리트 균열 보수 보강 방법 Ⅰ. 개요   1. 콘크리트 균열은 미관상 기능 및 구조상 결함을 유발하여 강도, 내구성, 수밀성을 저해하고      구조물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2. 발생된 균열은 조사를 통해 원인 및 균열의 폭과 깊이를 측정하고, 진행성 여부를 판단한 후        보수 및 보강을 실시하여야 한다 Ⅱ. 균열의 조사   1. 기본조사    1) 원인조사 : 시공상, 재료의 성질상, 구조적인 원인조사    2) 진행상태 : 활성 및 비활성 여부조사   2. 깊이 측정    1) 균열부 파내어 확인    2) Core boring : 유색 에폭시 주입후 Core 채취 확인    3) 비파괴 검사 : 초음파 측정법 이용   3. 변화 측정    1) 균열 깊이 : 테이프에 붙인 pin 이용    2) 균열 폭.. 2024. 8. 6.
조적벽의 균열(누수)원인 및 대책 1. 개요   1) 조적 공사의 균열발생 원인에는 설계상, 재료상, 시공상, 기타조건에 기인하여 발생   2) 조적 공사중 이러한 원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책을 수립하여 균열(누수) 방지 2. 균열이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   1) 누수 및 백화현상 발생   2) 풍화 및 동해의 가속화   3) 내구성 저하, 동계 냉기, 하계 열기 상승 3. 균열 발생 원인   1) 설계상    ① 기초의 부동침하   ② 동결 심도 부족   ③ 벽 배치의 불균형, 벽량의 부족   ④ 불균형 하중, 큰 집중하중, 횡력의 작용  2) 재료상   ① 벽돌자체 품질기준 미흡   ② 몰탈 강도 부족   ③ 건습, 온도변화에 의한 재료의 수축   3) 시공상   ① 줄눈 joint의 조잡한 시공   ② 이질재와의 접합부   ③ 보,.. 2024.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