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공정의 기본

타워크레인의 종류, 기종 선정 시 주의사항, 조립·해체 시 유의사항

by 붉은지 2025. 5. 19.
반응형

🟩 Ⅰ. 서론

  • 타워크레인은 고층·대형 구조물 시공에서 핵심 장비
  • 효율성과 안전 확보를 위해 적절한 기종 선정 조립·해체 안전 관리 필수

타워크레인
타워크레인


🟦 Ⅱ. 타워크레인의 종류

1. 지지 방식

  • 자립식: 별도 고정 없이 자체 균형
  • 고정식: 건물 구조체 또는 기초에 고정
  • 내부 상승형: 건물 코어 내부에서 상승
  • 외부 지지형: 외벽 지지대 사용
  • 기초 고정형: 콘크리트 기초에 앵커로 고정

2. 작업 방식

  • 러핑 지브형: 지브 각도 조절 → 협소 공간에 유리
  • 텔레스코핑 지브형: 지브 길이伸縮
  • 수평 지브형: 트롤리 이동으로 반경 조절 → 넓은 작업 영역

3. 이동 방식

  • 고정식: 정위치 고정 사용
  • 이동식: 레일/타이어/크롤러 이동 → 넓은 현장에 유리

🟨 Ⅲ. 기종 선정 고려사항

항목주요 내용
인양 하중·높이 최대 중량물 기준 확보 + 안전율 반영
작업 반경 공간/장애물 고려 → 지브 형태 결정
설치 공간·지반 설치 여건, 지지력 확인
현장 여건 협소지: 자립식/러핑 지브형 고려
작업 효율성 속도, 제어, 부가장치
안전성 과부하 방지 안전장치 유무
경제성 임대료 + 설치·운용비 고려
유지보수성 부품 수급, 기술지원 가능 여부
법규 준수 산업안전보건기준 관련 법령 충족
 

🟥 Ⅳ. 조립·해체 유의사항

1. 조립

  • 작업계획 수립 승인
  • 장비 점검, 안전 장구 착용 확인
  • 반경 출입 통제, 낙하물 방지
  • 수평·수직 정밀 유지
  • 볼트 체결 상태 점검
  • 안전장치 작동 확인
  • 무전기 등으로 의사소통 체계 확보
  • 기상 악화 중단

2. 해체

  • 해체계획 수립 (조립의 역순)
  • 구조 안정성 확보, 낙하 방지
  • 해체 순서 준수, 부재 안전 하역
  • 볼트 해제 이동 방지 조치
  • 해체 현장 정리 위험 요소 제거

🟩 Ⅴ. 결론

  • 타워크레인은 기종 선정, 안전관리, 작업계획핵심
  • 시공기술사는 기술적 판단 + 리더십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타워크레인 운용을 주도해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