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공정의 기본

📋 서중 콘크리트 관리계획서

by 붉은지 2025. 6. 21.
반응형

📋 서중 콘크리트 관리계획서

(하절기 콘크리트 품질 확보를 위한 필수 사항)

🔍 1. 관리 목적

  • 여름철 기온 상승 → 콘크리트 강도 저하 가능
  • 내구성 강화품질 유지를 위해 서중 콘크리트 관리 필요

📌 2. 서중 콘크리트 적용 기준

  • 타설 시점 온도 ≥ 30℃ 또는
  • 일평균 기온 ≥ 25℃ → 서중 콘크리트 적용

✅ 적용 기간 예시 (인천 기준)
7월 1일 ~ 8월 31일 (+ 전후 10일 여유 포함)

 

⚠️ 3. 서중 콘크리트 특성

   
항목 영향 내용
🔻 슬럼프 감소 온도 10℃ ↑ → 슬럼프 2.5cm ↓
🔻 공기량 감소 온도 10℃ ↑ → 공기량 2% ↓
⏱️ 응결시간 단축 20℃: 4.5시간 → 30℃: 3시간
⚠️ 콜드 조인트 발생 위험  
⚠️ 초기 균열 위험 ↑ (건조 & 수화열 원인)  
 

🏗️ 4. 레미콘(재료) 관리

🔸 골재

  • 차광 + 살수 필수 (스프링클러 설치)
  • 온도 높은 골재 → 슬럼프 손실
  • 골재 온도 ±2℃ → 콘크리트 온도 ±1℃ 영향

🔸 시멘트

  • 고온 시멘트 반입 시 3~4일 보관 후 사용
  • 시멘트 온도 ±8℃ → 콘크리트 ±1℃ 영향
  • SILO에 단열시설 설치 필수

🔸 물

  • 지하 탱크 + 얼음 활용으로 온도 낮추기
  • 물 온도 ±4℃ → 콘크리트 ±1℃ 영향

🔸 혼화제

  • 저강도 → AE감수제+플라이애시
  • 고강도(≥350kg/cm³) → 고성능 AE감수제
  • 보관온도: 15℃ 유지

🚧 5. 타설 관리 요령

   
관리 항목 관리 내용
🌡️ 콘크리트 온도 35℃ 이하 유지
⏱️ 타설 시간 비빈 후 90분 이내 완료
💧 사전 살수 철근 & 거푸집에 충분히 살수
❌ 콜드조인트 방지 타설 순서와 간격 사전계획 필수
💦 타설 후 살수 콘크리트 및 측면 거푸집 지속적 살수
🛠️ 다짐 작업 응결 빨라짐 → 다짐 철저히 & 마감 빨리
💧 6. 양생 관리
  • 🎯 마무리 작업 신속히 완료
  • 💥 초기 건조 → 균열 시, 즉시 재다짐(재진동, 탬핑)
  • 💧 최소 24시간 습윤상태 유지
  • 💦 스프링클러/호스 활용, 비닐 덮어 양생
  • 🧱 벽체 타설 시, 거푸집에도 계속 살수

📝 요약 체크리스트

✅ 일 평균 25℃↑ or 타설 시 30℃↑ → 서중 콘크리트 적용
콘크리트 온도는 35℃ 이하 유지
골재·물·시멘트 온도 관리 필수
비빈 후 90분 이내 타설
철근·거푸집·타설 후 충분한 살수
초기 균열 방지 → 빠른 마무리 & 습윤양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