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공정의 기본/시공기술사

Creep 현상

by 붉은지 2023. 12. 4.
반응형

Ⅰ. 정의

 

   1) 일정 지속 하중을 받던 Con'c가 하중의 변화가 없는데도 시간경과에 

 

       따라 변형이 증가하는 현상

 

   2) Creep 변형 > 탄성 변형

 

   3) 지속 응력의 크기가 정적강도의 80%가 되면 Creep 파괴

  


Ⅱ. 변형과 시간과의 관계

Creep 현상
Creep현상

 

 

Ⅲ. Creep 현상 특징

 

   1) 재하3개월 50%, 1년 80%완료

 

   2) 온도상승에 비례

 

   3) 정상Creep(2차 Creep)가 느리면 파괴시간 길어짐

 

   4) Creep 변형은 탄성 변형보다 크다

 

Ⅳ. Creep 현상 원인

 

   1)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2) 양생기간 미준수

 

   3) 적정강도이상 재하(과하중)

 

   4) 온도가 높고, 습도가 작을수록

 

   5) 단위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Ⅴ. Creep 파괴

 

   1) 1차Creep(변천) : 변형속도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

 

   2) 2차Creep(정상) : 변형속도가 일정하거나 최소로 변형

 

   3) 3차Creep(가속) : 변형속도가 차차 증가하여 파괴

 

Ⅵ. Creep 현상 대책

 

   1) 물시멘트비를 작게

 

   2) 양생기간 준수

 

   3) 응력집중 방지 및 분산

 

   4) AE제, 감수제를 사용하여 워커빌러티를 향상, 단위 시멘트량 감소

반응형

'건축 공정의 기본 > 시공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ter gain  (2) 2023.12.06
Bleeding 현상  (0) 2023.12.05
탄소섬유 Sheet 보강법  (0) 2023.12.03
콘크리트 동해의 원인과 대책  (2) 2023.12.01
Pop out 현상  (0) 2023.12.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