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푸집5

기둥 밑잡이 Ⅰ. 정의  1) 기둥최하부에 설치하여 거푸집이 충격 및 진동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고정   2) 수평 조절목의 수평 상태는 옹벽 및 개구부의 수직수평이 기본이 되므로       수평확보에 심혈을 기울인다. Ⅱ. 기둥 밑잡이 시공도 Ⅲ. 설치 목적  1) 거푸집 수직 수평 유지   2) Cement paste 유출 방지   3)  시공정밀도 향상   4) 콘크리트 부착성 향상   5) 거푸집 작업 편의 Ⅳ. 골조현장 거푸집 시공시 고려사항  1) 바닥레벨 철저히 관리   2) 먹매김 실시 후 작업   3) 단면 결손에 주의   4) 하부 틈새 발생 방지   5) 타설전 청소 철저 2025. 4. 1.
거푸집(기둥, 벽체) 검측(현장 이야기) 오늘은 기둥 철근 조립이 완료되어 그 후속 공정으로 거푸집 조립에 대하여 막내랑 검측하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나 – 막내야, 오늘은 현장에서 거푸집 조립을 보면서 알아야 점과 놓치기 쉬운 부분을 알려줄게.             도면 챙기고 현장 가보자             먼저 기둥이나 벽체 거푸집을 조립하기 전에 바닥 레벨이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확인부터 하자.            레벨을 확인하지 아니하고 타설한 바닥에서 바로 거푸집을 설치하면 건물이 기울어져 버리니 유의해.             레벨 기계를 설치하고 바닥 레벨이 차이가 있는 부분은 수평 목을 설치해서 타설 바닥의 레벨이             일정하게 나오도록 관리하자             이건 중요해. 꼭 다음 층에서도 .. 2025. 2. 21.
거푸집 공사의 종류와 특성을 알아야 현장에 맞는 공사를 할 수 있다. 거푸집 공사1.거푸집공사의 개요  1) 거푸집의 설계·가공·조립 등에 관한 공사로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가설의 틀에 관련된 공사 전반을 의미하며, 목제 거푸집이나 강철제 거푸집이 널리 사용되며, 특히 아파트 공사에서는 유로폼, 알루미늄 폼, 갱 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마감공사의 품질과 직결되는 공사로서 수직·수평 관리 및 고층화에 따른 갱 폼 안전관리 등에 각별한 유의가 필요한 공사이다.  2) 거푸집공사의 역할은 구조적인 역할과 마감공사 바탕의 역할로 구분할 수 있다.   ① 구조적인 역할로는 구조체의 형성과 치수 유지, 적정 콘크리트 강도 확보, 콘크리트 측압 및 슬래브 하중에 대한 안전이다.   ② 마감공사 바탕 역할로는 구조체의 수직·수평 확보, 개구부(창호 등) 규격의 정밀도 유지, 콘.. 2025. 2. 19.
거푸집과 동바리 공사의 개념 ▣ 거푸집과 동바리 공사 1) 용어의 정의 ● 거푸집(formwork, form, mold):    콘크리트 구조물이 필요한 강도를 발현할 수 있을 때까지 구조물을 지지    구조물의 형상과 치수를 설계도서대로 유지하기 위한 가설구조물의 총칭  ● 거푸집 긴결재(form-tie):      기둥이나 벽체 거푸집과 같이 마주 보는 거푸집에서 거푸집널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     콘크리트 측압을 최종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인장 부재  ● 동바리, 받침기둥(support, shore or staging):       거푸집 및 콘크리트의 무게와 시공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부재     작업 장소가 높은 경우 발판, 재료 운반이나 위험물 낙하 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임시 지지대  ● 솟음(camb.. 2024. 8. 14.
동절기 대비 건설공사 등 안전 점검표입니다. (미리 준비하세요) 1. 동절기 대비 건설공사 등 안전 점검표 동절기 대비 건설공사 등 안전 점검표는 한국시설안전공단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양식을 다운받을 수 있다. 못 찾으시는 분들을 위해서 아래와 같이 적어들입니다. (점검 결과 O/X를 만드시고 조치사항을 적으시면 됩니다) 2. 공통(일반사항) ● 동절기 대비 안전관리계획의 작성 및 관리상태  ● 안전관리 조직의 적정성  ● 자체 및 정기 안전 점검 실시 여부  ● 노후 건축물, 비닐하우스, 임시가건물 등 폭설에 대비한 시설물 안전상태  ● 절개지 등 눈사태 발생 예상 지역 안전 여부  ● 상하수도배관, 화장실, 옥상 물탱크 등 동파 우려 시설 및 설비 안전상태  ● 제설 장비 및 물자확보 여부  ● 급경사 지역 모래 또는 염화칼슘 함 설치 여부  ● 차량 스노체인, 부.. 2024.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