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근조립2

철근조립의 도면검토 해설 1. 건축시공기술사 철근조립 도면검토 해설 건설 현장에서는 활하중 및 고정하중 받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철근 및 거푸집을 형성해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일반적으로 기둥 부위 및 보 부재 간 결속력 확보를 위하여 주근 위에 띠철근을 배치하며 이를 보강 띠철근 또는 스터럽 이라고 부른다. 또한 벽체 모서리나 개구부 주위처럼 응력 집중이 예상되는 곳에는 전단보강철근을 추가하여 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세설계 도면상의 기초배근 상세도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서 적용된 사례를 통해 실무에서의 활용 방법을 알아본다.건축 공사 현장에서 철근콘크리트 공사는 매우 중요한 공정 중 하나다. 건물의 뼈대를 세우는 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계 단계에서부터 정확한 구조 계산과 검토가 필요하다. 이때 사용되는 도면.. 2025. 2. 18.
조립식 철근공법(Pre-fab공법) Ⅰ. 정의   1) 철근을 기둥, 보, 바닥, 벽 등 부위별로 선조립하여, 현장에서는        접합만 하면 되는 공법     2) 공기단축, 작업환경 개선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공사의 합리화       추구 및 건설의 공업화 발전에 필요한 공법 Ⅱ. 철근 Pre-fab 목적   1) 시공정도의 항상   2) 공기의 단축   3) 관리의 용이성    4) 작업의 단순화   5) 구조체 공사의 SYSTEM화 Ⅲ. 철근 Pre-fab 분류   1) 기둥, 보 철근의 Pre-fab화  2) 벽,바닥 철근의 Pre-fab화(용접철망 사용)   3) 철근의 PIONTING 공법 Ⅳ. 철근 Pre-fab 특징   1) 장점    ① 피복의 정확하여 시공정도 향상    ② 고강도 철근 사용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 2024. 7.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