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설3 레미콘 타설 전 준비와 양생, 보온할 때 유의점. 레미콘 타설 전 준비와 양생, 보온할 때 유의점. 1.레미콘 타설 사전 준비 1) 사전 준비 ① 수송설비(펌프카) 및 배관상태 확인이 필요하다. ② 타설 인원 및 형틀 공, 철근공, 전기공 등 타설할 때 비상 작업 인원을 점검한다. ③ 타설 일자의 기상 상태를 미리 확인한다. ④ 품질관리자 입회 및 시험기구 준비를 확인한다. ⑤ 부어 넣기 준비(양생 준비, 진동기) 및 작업장 확인(펌프카 설치 위치, 레미콘 차량 운반 경로)이 필요하다. 2) 타설 전 관리가 필요한 부분 ① 거푸집 조인트 틈새로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억제를 위한 거푸집 청소 및 밀착시공 여부 확인이 필요하다. ② 거푸집 하부 등 이물질 청소상태 확인 및 철근 변형 여부, 간격 재, 버팀대 변형 여부를 확인한다. ③ 벽체 철근 이.. 2025. 4. 4. 철근조립의 도면검토 해설 1. 건축시공기술사 철근조립 도면검토 해설 건설 현장에서는 활하중 및 고정하중 받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철근 및 거푸집을 형성해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일반적으로 기둥 부위 및 보 부재 간 결속력 확보를 위하여 주근 위에 띠철근을 배치하며 이를 보강 띠철근 또는 스터럽 이라고 부른다. 또한 벽체 모서리나 개구부 주위처럼 응력 집중이 예상되는 곳에는 전단보강철근을 추가하여 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세설계 도면상의 기초배근 상세도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서 적용된 사례를 통해 실무에서의 활용 방법을 알아본다.건축 공사 현장에서 철근콘크리트 공사는 매우 중요한 공정 중 하나다. 건물의 뼈대를 세우는 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계 단계에서부터 정확한 구조 계산과 검토가 필요하다. 이때 사용되는 도면.. 2025. 2. 18. 매스콘크리트 개념과 타설할 때의 유의할 점. 1. 매스콘크리트 개요 ① 넓은 슬래브에서는 부재 단면의 최소치수가 80㎝ 이상, 하단이 구속된 벽체에서는 두께 50㎝ 이상이고, 또한 수화열에 의한 콘크리트의 내부 최고온도와 외기온의 차가 25℃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를 말한다. 2. 수화열 개요 ① 콘크리트는 경화 과정에서 수화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을 수화열이라고 한다. ② 수화반응은 시멘트에 물을 부어 자극하면 다량의 열이 방출되면서 시멘트가 응결되어 수산화칼슘이 생성되는 현상을 말한다. ③ 시멘트가 물과 접촉하여 어느 시간에 반응이 활발하면 어느 정도는 반응속도가 커진다. 시멘트의 수화반응 단계를 살펴보면, 제1단계부터 제5단계까지 5가지의 반응기간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제1, 2단계의 두 기간을 종합해서 유도기, 제3.. 2023. 2.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