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은 레미콘 배합에 따라 크게 좌우됩니다. 현장에서 사용되는 레미콘 배합표를 이해하는 것은 시공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동절기에는 콘크리트의 특성이 변화하므로 표준 배합과 다른 동절기 배합 기준을 적용해야 합니다.
1. 레미콘 현장 배합표 구성 요소
레미콘 배합표는 1㎥의 콘크리트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각 재료의 양을 명시한 표입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멘트 (C1):
- 주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가 사용되지만, 사용 목적에 따라 중용열, 조강, 저열,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배합표에는 C1으로 표시됩니다.
- 혼화재 (C2, C3, F/A 등):
- 시멘트 중량의 5% 이상 첨가되어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하는 재료입니다.
- 플라이애시, 실리카 흄, 고로 슬래그 등이 대표적이며, 배합표에는 C2, C3, F/A 등으로 표시됩니다.
- 바인더 (BINDER):
- 시멘트와 혼화재를 합한 양을 의미하며, 물-시멘트비(W/C) 계산 시 시멘트량 대신 사용됩니다.
- 배합표에는 W/B (물-바인더비)로 표시됩니다.
- 혼화제 (AD):
- 시멘트 중량의 1% 내외로 첨가되어 콘크리트의 작업성, 강도, 내구성 등을 조절하는 화학 물질입니다.
- AE제, AE감수제, 고성능 감수제, 유동화제, 증점제 등이 있으며, 배합표에는 AD로 표시됩니다.
- 잔골재율 (S/A):
- 전체 골재 용적 중 잔골재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 잔골재율이 낮으면 굵은골재의 비율이 높아지고, 높으면 잔골재의 비율이 높아집니다.
- 배합표에는 S/A로 표시됩니다.
- 골재:
- 콘크리트의 뼈대를 이루는 재료로, 크기와 중량에 따라 분류됩니다.
- 크기에 의한 분류:
- 굵은골재 (G): 5mm 체에 무게 기준으로 85% 이상 남는 골재입니다.
- 잔골재 (S): 5mm 체에 무게 기준으로 85% 이상 통과하는 골재입니다.
- 중량에 의한 분류:
- 경량골재: 비중 2.0 이하
- 보통골재: 비중 약 2.6
- 중량골재: 비중 2.6 이상
- 배합표에는 굵은골재는 G, 잔골재는 S로 표시됩니다.
- 조립률 (FM): 골재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지표로, 값이 클수록 골재의 입도가 큽니다.
- 조립률 = (0.15, 0.3, 0.6, 1.2, 2.5, 5, 10, 20, 40, 75mm 체에 남는 골재 비율의 합) / 100
- 크기에 의한 분류:
- 콘크리트의 뼈대를 이루는 재료로, 크기와 중량에 따라 분류됩니다.
- 골재의 함수 상태:
- 골재 속에 포함된 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흡수율 (%):
- 유효 흡수율 (%):
- 함수율 (%):
- 표면수율 (%):
- 골재 속에 포함된 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2. 표준 콘크리트 배합표와 동절기 콘크리트 배합표 비교
동절기 콘크리트 배합은 낮은 온도 환경에서 콘크리트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표준 배합과 차이를 보입니다. 아래 표를 통해 주요 차이점을 설명하겠습니다.
![]() |
![]() |
표준 콘크리트 배합표 | 동절기 콘크리트 배합표 |
1.위의 표에서 가장 많이 차이 나는 것은 C1으로 표준배합일 때 343kg/㎡,
동절기배합일 때 375kg/㎡로 32kg/㎡ 차이가 난다.
여기서 C1은 포틀랜드 시멘트 1종을 말하며, 시멘트의 양이 증가하면 수화열과 크리프가 같이 증가
또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시멘트의 양을 증가시키면서 W/B(물시멘트비)를 낮추지 않는다면, 물의 양이 증가하여 건조수축이 증가
건조수축은 균열을 발생한다.
W/B(물시멘트비)를 낮추면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떨어져서 콘크리트 타설의 시공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확보하면서 시공의 편리성도 유지하려면 유동화제 등 혼화 재료를 사용
※크리프 : 응력이 일정하게 적용하여 크기의 변화가 없더라도 변형률이 시간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현상
2. 표준배합보다 동절기 배합에서 줄어든 것은 C2(플라이 애시)로, 플라이 애시는 유동성 증가,
삼투성 감소, 경화 지연 및 초반 압축강도가 감소하나 시간이 지나면 내구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나, 경화 지연 및 초반 압축강도의 감소로 동절기 콘크리트 타설에는
부적합할 수 있어 C2의 수량이 감소한 것이다.
동절기 콘크리트 타설할 때는 현장 배합표를 겨울철에 맞는 배합기준을 잘 적용하도록 해야 한다.
'건축 공정의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물 해체의 신고·허가 대상 및 절차 (0) | 2025.05.19 |
---|---|
건축물 강구조공사 시 공장제작 및 현장시공 정밀도 관리기준 (1) | 2025.05.19 |
🚧 000 공사 현장 콘크리트 균열 관리, 이렇게 합니다! (1) | 2025.05.17 |
균열 관리 계획서입니다. (0) | 2025.05.17 |
석면 공포, 이제 안전하게 벗어나자! 석면 해체·제거 작업 완벽 가이드 (1) | 2025.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