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근공사 용어의 정의
●가스 압접 이음(gas press welding) : 철근의 단면을 산소-아세틸렌 불꽃 등을 사용하여 가열하고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용접한 맞댐 이음
● 간격재(spacer) : 철근 혹은 프리스트레스용 강재, 시스 등에 소정의 철근 피복을 가지게 하거나 그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쓰이는 콘크리트제, 금속제, 플라스틱제 등의 부품
● 기계적 이음(mechanical splice) : 나사를 가지는 슬리브 또는 커플러, 에폭시나 모르타르 또는 용융 금속 등을 충전한 슬리브, 클립 등의 보조장치 등을 이용한 이음
● 방청제(corrosion inhibitor) : 콘크리트 중의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 방지 혼화제
● 배력근(distributing bar) : 하중을 분산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 철근(데크 플레이트 시공할 때 사용)
● 수축·온도철근(shrinkage and temperature reinforcement)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온도 변화, 기타의 원인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인장응력에 대비해서 가외로 더 넣는 보조적인 철근
● 이형철근(deformed reinforcement) : 표면에 리브와 마디 등의 돌기가 있는 봉강으로서 KS D 3504에 규정되어 있는 이형철근 또는 이와 동등한 품질과 형상을 가지는 철근
● 조립용 철근(erection bar) : 철근을 조립할 때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쓰는 보조적인 철근
▣ 철근 공사 시공 방법
● 철근은 KS D 3504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 철근 고임 재 및 간격 재는 표준을 따른다.
부위 | 종류 | 수량 또는 배치간격 |
기초 | 강재, 콘크리트 | 8 개/4m2 20 개/16m2 |
지중보 | 강재, 콘크리트 | 간격은 1.5 m 단부는 1.5 m 이내 |
벽, 지하외벽 |
강재, 콘크리트 | 상단 보 밑에서 0.5 m 중단은 상단에서1.5 m 이내 횡간격은 1.5 m 단부는 1.5 m 이내 |
기둥 | 강재, 콘크리트 | 상단은 보밑 0.5 m 이내 중단은 주각과 상단의 중간 기둥 폭방향은 1 m 미만 2개 1 m 이상 3개 |
보 | 강재, 콘크리트 | 간격은 1.5 m 단부는 1.5 m 이내 |
슬래브 | 강재, 콘크리트 | 간격은 상·하부 철근 각각 가로 세로 1 m |
주 1) 수량 및 배치간격은 5~6층 이내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서, 구조물의 종류, 크기,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 철근은 설계에 정해진 원칙에 의해 그려진 철근 상세도에 따라 정확한 치수 및 형상을 가지도록 가공
●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조립
● 심한 부식 환경 지역에 설치되는 주요 구조물에 철근의 부식 문제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책임기술자의 승인을 받아 에폭시수지 등으로 도막 처리된 철근 사용
● 철근 구부림은 최소 내면 반지름 이상
● 철근 및 용접철망은 직접 땅에 놓지 않도록 하고, 적당한 간격으로 지지하여 창고 내에 저장
● 옥외에 적치할 경우에는 적당한 씌우개로 덮어서 저장
● 철근의 표면에는 부착을 저해하는 흙, 기름 또는 이물질이 없어야 한다
● 경미한 황갈색의 녹이 발생한 철근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와의 부착을 해치지 않으므로 사용 가능
● 철근은 바른 위치에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움직이지 않도록 매우 견고하게 조립
● 철근이 바른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결속선으로 결속
● 철근의 피복두께를 정확하게 확보하기 위해 적절한 간격으로 고임재 및 간격재를 배치
● 고임재와 간격재를 배치할 때는 사용 개소의 조건, 이들의 고정 방법 및 철근의 중량, 작업하중 등을 고려
● 철근은 조립이 끝난 후 철근 상세도에 맞게 조립되어 있는지를 검사
'건축 공정의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근콘크리트공사는 뭘까? (0) | 2023.02.17 |
---|---|
슬라브(데크 플레이트) 설치(현장 이야기) (0) | 2023.01.16 |
보 거푸집 제작 과정(현장 이야기) (0) | 2023.01.12 |
기둥 철근 조립(현장 이야기) (0) | 2023.01.04 |
거푸집 공사의 종류와 특성을 알아야 현장에 맞는 공사를 할 수 있다. (0) | 2022.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