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적5 겨울에 벽돌 공사 시공 시 유의점 ▣ 벽돌 공사 1) 벽돌공사 한중 시공 시 유의점 ● 모든 재료는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운반되어야 한다. 또 모세관현상이나 눈, 비에 의해 습윤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관해야 한다. 기밀하지 못하거나 보호 차양이 없는 모든 벽의 상단부는 매일 또는 작업이 끝날 때마다 내후성이 강한 재료로 덮어두어야 한다. 벽 시공 중에 벽은 작업이 중단될 때는 반드시 덮개를 씌워야 한다. 덮개는 벽의 상단부에서 양쪽으로 최소한 600mm 이상 늘어뜨려 정착해야 한다. ● 조적조의 모르타르 층에 눈이나 얼음이 생겼을 경우, 조적조의 상단이 건조하게 될 때까지 열을 조심스럽게 가해서 녹여야 한다. 얼었거나 파손되었다고 생각되는 조적조의 단부는 그 부분의 공사가 재개되기 전에 .. 2025. 3. 5. 조적 공사의 재료 선정 시 기준과 시공 준비 및 방법 ▣ 조적 공사1) 조적 공사 재료 기준 ● 조적 공사에는 환경마크, 탄소 마크, 환경성적표지 등 공인된 친환경 재료를 우선 사용한다. ● ∙조적 공사 자재는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은 것을 먼저 선정한다. ● 조적 공사 자재는 현장 인근에서 생산되어 운송과 관련한 환경영향이 적은 것을 고려한다. ● 조적 공사 자재는 재사용⋅재활용이 용이한 제품을 우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고려한다 ● 조적 공사 자재는 순환자원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한다. ● 적절한 구매계획을 수립하여 잉여 자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적 공사 자재를 먼저 사용한다. 2) 조적 공사 시공 방법 및 장비 선정● 녹색기술 인증, 친환경 신기술 등 공인된 친환경 공법.. 2025. 2. 26. 습식 벽체인 조적 공사 용어부터 알아보기 ▣ 조적 공사 1) 조적 공사 용어의 정의 ● 가로 보강근: 블록의 속 빈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배근 된 철근의 총칭 ● 가로줄눈: 조적 개체가 설치되는 수평 모르타르 줄눈 ● 거푸집 블록: L형, 역 T자형, U자형 등으로 만들어 콘크리트조의 거푸집을 겸하게 된 블록으로 내부에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를 채워 넣을 수 있는 블록 ● 거푸집 블록구조: 거푸집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여 조합시켜 거푸집으로 하고 공동 부분에 철근을 배근하고 그라우팅하여 내력벽과 기둥, 보 등의 구조체를 만드는 블록구조 ● 경량블록: 기건비중이 1.9 미만의 속빈 콘크리트 블록 ● 그라우트: 시멘트 성분을 가진 재료와 골재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적 개체의 사이 혹은 속 빈 조적 개체의 채움으로 쓰이는 모르.. 2025. 2. 25. 백화 현상 발생 원인 및 대책 1. 개요 1) 백화현상은 Cement의 가수분해에서 생기는 Ca(OH)2가 공기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발생 2) CaO+H2O 수화반응 => Ca(OH)2 Ca(OH)2+CO2 백화 => CaCO3+H2O 2. 백화의 종류 1) 1차 백화 ① 재료 내부 혼합수중 가용성분 ② 시멘트 경화체 표면건조에 의해 발생 2) 2차 백화 ① 2차수가 침입 건조 ② 시멘트 경화체내 가용성분 용출 3. 백화 발생 원인 1) 설계상 미비 ① 균열 발생, 기초 부동침하, 벽량부족, 불균형 배치 ② 우수처리 미비, 창호 주위 줄눈, 코킹처리 미흡 ③ 결로방지 설계 및 방수처리 미흡 ④ 이질재 접합부 처리 미흡 2) 재료상 결합 ① 시멘트는 .. 2024. 7. 19. 조적벽의 균열(누수)원인 및 대책 1. 개요 1) 조적 공사의 균열발생 원인에는 설계상, 재료상, 시공상, 기타조건에 기인하여 발생 2) 조적 공사중 이러한 원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책을 수립하여 균열(누수) 방지 2. 균열이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 1) 누수 및 백화현상 발생 2) 풍화 및 동해의 가속화 3) 내구성 저하, 동계 냉기, 하계 열기 상승 3. 균열 발생 원인 1) 설계상 ① 기초의 부동침하 ② 동결 심도 부족 ③ 벽 배치의 불균형, 벽량의 부족 ④ 불균형 하중, 큰 집중하중, 횡력의 작용 2) 재료상 ① 벽돌자체 품질기준 미흡 ② 몰탈 강도 부족 ③ 건습, 온도변화에 의한 재료의 수축 3) 시공상 ① 줄눈 joint의 조잡한 시공 ② 이질재와의 접합부 ③ 보,.. 2024. 7.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