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7 철근 배근할 때 주의(감리 지적)해서 봐야 할 것들. 1. 시공 이음 ① 시공자는 끊어치기 위치, 구획 및 방법, 콘크리트 분할 타설 계획에 대하여 사전에 책임기술자의 검토 및 확인 후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② 시공 이음은 될 수 있는 대로 전단력이 작은 위치에 설치하고, 부득이 전단력이 큰 위치에 시공이음을 설치할 경우에는 시공 이음에 장부 또는 홈을 두거나 적절한 강재를 배치하여 보강하여야 한다. 수직철근 배근할 때 바람직한 이음 위치 ③ 겹친이음은 부재의 중앙부에서 부재 길이 1/2구역 내에서만 할 수 있고 인장이음으로 설계하며, 또한 횡방향 철근 간격과 연결 철근이나 겹친 후프 철근 간격 제한의 규정을 따르는 횡방향철근으로.. 2025. 2. 22. 철근조립의 도면검토 해설 1. 건축시공기술사 철근조립 도면검토 해설 건설 현장에서는 활하중 및 고정하중 받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철근 및 거푸집을 형성해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일반적으로 기둥 부위 및 보 부재 간 결속력 확보를 위하여 주근 위에 띠철근을 배치하며 이를 보강 띠철근 또는 스터럽 이라고 부른다. 또한 벽체 모서리나 개구부 주위처럼 응력 집중이 예상되는 곳에는 전단보강철근을 추가하여 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세설계 도면상의 기초배근 상세도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서 적용된 사례를 통해 실무에서의 활용 방법을 알아본다.건축 공사 현장에서 철근콘크리트 공사는 매우 중요한 공정 중 하나다. 건물의 뼈대를 세우는 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계 단계에서부터 정확한 구조 계산과 검토가 필요하다. 이때 사용되는 도면.. 2025. 2. 18. 철근 공사의 기본 사항과 시공할 때 유의점. 철근 공사 1. 철근공사 할 때 주의할 점 ◎ 철근공사는 철근(현장, 공장) 가공, 시험, 이음 및 정착, 부위별(기둥, 벽체, 보 등) 배근, 내진설계 등으로 구성되며, 이음·정착길이, 보강, 스터럽 등 가공상세도 작성과 철근 규격·배근 위치, 배근 간격 등에 세밀한 사전검토 및 시공이 요구되고 최근 빈번한 지진에 대비한 내진설계 또한 주요 검토사항임에 유의해야 한다. 내진설계의 철근 배근은 특히 구조 일반사항 중의 내진설계 부분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2. 철근 공사할 때 사용되는 자재의 종류 및 반입, 보관 방법 1) 철근 ① 철근은 열간 압연으로 제조되며, 형태에 따라 원형 봉강과 이형봉강으로 분류 ② 초고강도 철근은 건축 구조물 공사의 원가 절감 및 시공성 향상을 위하여 D13 이하.. 2024. 8. 14. 철근의 부동태막 Ⅰ. 개념 1) 부식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진상태를 부동태라 하며, 콘크리트에 매설된 철근표면에 생긴 두께 20~60A막을 부동태막이라 한다. Ⅱ. 부동태막 개념 Ⅲ. 철근의 부동태막 파괴원인 1) CaO+H2O 수화반응 => Ca(OH)2+CO2 중성화반응 => CaCO3+H2O 2) 중성화반응 3) 중성화 속도가 빠를 때 4) 피복두께가 얇을 때 Ⅳ. 부동태막 파괴로 인한 피해 1) 콘크리트 내부 철근 부식으로 녹발생 2) 녹발생 시 부피 2.6배 팽창 3) 콘크리트 표면 크랙 발생으로 물과 공기 침입 급속 진행 Ⅴ. 철근의 부동태막 파괴 방지대책 1) 양질의 재료 선택 2) 밀실한 콘크리트 타설 3) 보양 관리 철저 4) 대기중 염분함량이 .. 2024. 7. 22. 철근콘크리트공사는 뭘까? ▣ 철근콘크리트공사 1) 건축에서 철근콘크리트공사는 우리 몸에 비유하면 뼈대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에 재료부터 철저히 검측 및 확인이 필요합니다. 건축물에서 수행되는 콘크리트 공사에 대한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사항은 KCS14 20 00을 따라야 합니다.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는 콘크리트에 관한 충분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책임기술자가 현장에 상주하여야 한다. 콘크리트공사를 시행하기에 앞서 환경에 대한 부하, 환경 성능, 녹색성장에 대한 공사 요건을 검토하고 구조물의 설계에 기초하여 시공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녹색건축물이나 이와 유사한 친환경성이 요구되는 구조물은 친환경 콘크리트공사를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철근콘크리트공사는 기초공사부터 옥상까지 철근과 레미콘으로 구조물을 형성하.. 2023. 2. 17. 철근 공사의 용어와 시공 방법 ▣ 철근공사 용어의 정의 ●가스 압접 이음(gas press welding) : 철근의 단면을 산소-아세틸렌 불꽃 등을 사용하여 가열하고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용접한 맞댐 이음 ● 간격재(spacer) : 철근 혹은 프리스트레스용 강재, 시스 등에 소정의 철근 피복을 가지게 하거나 그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쓰이는 콘크리트제, 금속제, 플라스틱제 등의 부품 ● 기계적 이음(mechanical splice) : 나사를 가지는 슬리브 또는 커플러, 에폭시나 모르타르 또는 용융 금속 등을 충전한 슬리브, 클립 등의 보조장치 등을 이용한 이음 ● 방청제(corrosion inhibitor) : 콘크리트 중의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 방지 혼화제 ● 배력근(distributing bar) : 하중을 분.. 2023. 1. 13. 철근 콘크리트 공사 중 먹매김 방법(현장 이야기) 철근 콘크리트 공사 먹매김 ▣ 먹매김 먹매김은 건축 공사할 때 먹통, 먹물, 실(먹줄)을 이용하여 기초, 기둥, 옹벽, 창호 위치, 개구부 등이 세워질 곳에 표시해두는 작업을 말한다. 먹매김을 할 때는 도면에 축소되어 표시된 것을 실제 시공 위치에 축척 1:1의 비율로 표시하고, 먹매김 작업 후 합판 재질의 거푸집, 유로폼을 이용한 형틀작업과 철근 배근 작업이 이루어진다. 김 과장 : “박 기사 오늘은 현장에서 먹매김 검측을 할 거야. 준비는 잘하고 있나?” 박 기사 : “네, 김 과장님 먹매김 도면하고 줄자를 준비하였습니다.” 김 과장 : “먼저 도면을 봐 볼까?” 김 과장 : “먹매김 체크 리스트에 무엇을 적고 확인해야 하는지 알아볼까?” 건축 검측 체크 리스트 공 종 Code No. 건 축 위치 및.. 2022. 12. 24. 이전 1 다음